관악산은 도심근교산 이지만 북쪽 끝 의정부에서 남쪽끝으로 가는 불편함 ? 으로 항상 도봉,북한산등 북부의 산들에 밀려 차기산행으로 밀리던 산이다. 봄을 맞아 경기 오악중 하나인 관악산에 첫 걸음을 딛는다.
***관악산(冠岳山)***
관악산(冠岳山)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와 금천구, 경기도 안양시와 과천시에 걸쳐 있는 높이 632m 의 산이다. 한남정맥이 수원 광교산에서 북서쪽으로 갈라져 한강 남쪽에 이르러 마지막으로 우뚝 솟아 있다. 관악이란 이름은 산의 모양이 마치 '삿갓(冠)'처럼 생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산의 최고봉은 2012년 현재 기상관측소옆 연주대 불꽃바위(632m)이다. 관악산 연주봉 남쪽 기슭에는 연주암(戀主庵)이라는 사찰이 있고 관악산의 개방된 최고봉인 연주봉(629m) 절벽 위에 연주대(戀主帶:경기도 기념물 제20호)가 자리하고 있다.< 한국어 위키백과 참조>
![](https://t1.daumcdn.net/cfile/blog/2451124F56D2D42432)
관악산 - 말바위 능선에서 바라본 풍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256CFA4F56D2D42A17)
관악산 연주대
언 제 : 2016년 2월 28일 일요일 날 씨 : 오전 흐림 오후 눈 기온 : 서울10:00 4.2℃ ~ 13:00 5.9℃
누 구 랑 : 나 혼자
어 디 를 : 서울시 관악구와 금천구 경기도 안양시와 과천시에 걸쳐 있는 '관악산'
산행 코스 : 사당역 ~ 관음사 입구 ~ 공룡바위 ~ 깃대봉 ~ 마당바위 ~ 사당능선 ~ 지도바위 ~ 관악산 정상 ~ 말바위 ~ 서울대 산행종료
산행 시간 : 09:20 사당역 출발 ~ 10:10 공룡바위 ~ 11:45 지도바위 ~ 12:07 관악산 정상 ~ 12:56 말바위안부 갈림길 ~ 13:30 서울대
하산완료(4시간 10분소요)
![](https://t1.daumcdn.net/cfile/blog/2610BB4C56D2D7D60F)
산행경로
도심을 가로질러 가야 하는 관계로 08:00 일찌기 준비하여 길을 나섭니다.
전철을 갈아타고 사당역에 도착한 시각이 09:20 4번츨구로 역사를 빠져나와 첫번째 꺽임도로에서(관악산 등로 500m 표시) 우틀 하여 아파트 사이를 지나 오릅니다.(오늘 산행 코스는 수많은 관악산 산행 코스중 조망이 좋기로 이름난 사당능선 코스 .....이 코스는 관음사 뒤편의 공룡바위 전망대 부터는 시계가 트여 시원스런 조망을 즐기며 정상까지 산행을 할수있는 잇점이 있는 코스........약간의 난이도가 있는 코스이긴 하나 위험구간 마다 우회로가 나 있음 )
![](https://t1.daumcdn.net/cfile/blog/2130F34A56D2EAEF07)
09:32 본격적인 산행 들머리가 시작되는 관음사 입구 화평교를 지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1D3D4A56D2EAF214)
사당역에서 0.9km 정도 지나온 지점이고 관음사 까지는 400m - 포장된 도로를 따라 관음사로 오르면 돌아가는 코스 이므로 공룡바위 전망대로 직접 오르는 길을 택합니다. 화평교를 건너 30m 정도 오르면 위의 이정표가 선 자리에서 우측으로 난 등로로 들어섭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61A594A56D2EAF521)
헬기장을 지나고
![](https://t1.daumcdn.net/cfile/blog/2531D84A56D2EAF806)
관음사 뒤편의 길을 올라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512484A56D2EAFC2A)
곧이어 암릉이 시작되며 시계가 트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6B464956D2D85E2D)
진행 방향의 공룡바위가 있는 봉우리
![](https://t1.daumcdn.net/cfile/blog/266B9F4956D2D86131)
정상부를 조금 당겨 담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7D134956D2D8641E)
암릉을 오르니
![](https://t1.daumcdn.net/cfile/blog/2444584B56D2F04D2E)
시가지를 바라보는 조망이 매우 좋습니다.
날씨가 맑다면 남산과 북한산 도봉산 일대까지 모두 조망되는 곳이지만 오늘은 한강 조차도 흐릿하게 보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512414956D2D86B0C)
우측으로 조금 옮겨 잡은 시가지 풍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217FFD4956D2D86D1C)
중간 암릉에서 꼭대기 까지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어 편하게 오를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50F064956D2D8710F)
정상데크에 올라 시가지 쪽 조망을 해 보고
![](https://t1.daumcdn.net/cfile/blog/277E454956D2D8B320)
올라야 할 정상부를 바라 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19074956D2D8AF06)
우측편 으로 보이는 국기봉 암릉도 당겨 봅니다.
그리고 데크 좌측편 조금 아래의 공룡바위를 보러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60B5F4956D2D8B613)
공룡바위 - 이 지점에서 바라보니 공룡과 흡사한 모습 이군요.
![](https://t1.daumcdn.net/cfile/blog/2618554956D2D8B807)
자주 올 수 없는 곳이니 쉬엄쉬엄 두루두루 둘러보며 올라 갑니다. - 공룡바위 우측에서 올려다 본 풍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230E284956D2D8BB12)
등로를 따라 능선을 올라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6CED4956D2D8BE32)
암릉에 올라 지나온 공룡바위 쪽을 바라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40E484956D2D8C212)
암봉들을 둘러보지 않았더라면 놓칠뻔한 '거북바위'
![](https://t1.daumcdn.net/cfile/blog/234C9E5056D2D8FF09)
날으는 거북(자라에 가까움)등에 올라서서....
![](https://t1.daumcdn.net/cfile/blog/22238E5056D2D90239)
뭐 빠트리는 것은 없는지 암봉마다 올라보며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429BD5056D2D9052F)
암봉에서 뒤돌아 지나온 봉우리를 바라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518F5056D2D90904)
아까 밑에서 바라 보았던 국기봉 가까이로 능선이 휘어져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56B004856D2F60D10)
헬리포터에서 국기봉을 잠시 들러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4D335056D2D91009)
국기봉 암릉
![](https://t1.daumcdn.net/cfile/blog/252FF35056D2D9132A)
국기봉에서 바라본 지나온 암봉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4F9C5056D2D95A08)
국기봉에서 바라보는 시가지 풍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2246F35056D2D95C12)
63빌딩 쪽의 도심 풍경을 당겨 담아 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626555056D2D95F34)
다시 이어지는 능선길을 걷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42AF5056D2D96417)
![](https://t1.daumcdn.net/cfile/blog/2342D85056D2D96817)
낙성대 쪽에서 올라오는 등로를 지나고....
![](https://t1.daumcdn.net/cfile/blog/2241815056D2D96B19)
하마바위 - 하마바위는 등쪽으로 올라 통과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4EC95056D2D96E0A)
하마바위 위에서 바라본 서울대학교 방향
![](https://t1.daumcdn.net/cfile/blog/247A864756D2D9D833)
![](https://t1.daumcdn.net/cfile/blog/231C984756D2D9DB12)
10:55 마당바위에 올라 지나온 길을 뒤돌아 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626A04756D2D9DF07)
마당바위 - 네모 반듯이 잘라진 넓적한 바위가 두어장..
![](https://t1.daumcdn.net/cfile/blog/2323E54756D2D9E20A)
마당바위 옆의 기암
![](https://t1.daumcdn.net/cfile/blog/25409D3756D2F8C833)
이 바위가 혹 '목탁바위'?
![](https://t1.daumcdn.net/cfile/blog/2128BA4756D2D9E505)
헬리포터의 조망처
![](https://t1.daumcdn.net/cfile/blog/2179F94756D2D9E735)
조망처에서 바라보는 관악산정상
![](https://t1.daumcdn.net/cfile/blog/241A564F56D2DA160D)
능선을 올라가며 좌측 능선의 암릉을 당겨 봅니다. - 저곳에도 역시 산객들이 .....
![](https://t1.daumcdn.net/cfile/blog/2175A14F56D2DA1933)
![](https://t1.daumcdn.net/cfile/blog/2228184F56D2DA1C01)
능선을 오르며 정상을 당겨 담아 보고....
![](https://t1.daumcdn.net/cfile/blog/211B1D4F56D2DA1F0B)
K 11 지점의 헬리포터
![](https://t1.daumcdn.net/cfile/blog/2701CC4F56D2DA2128)
능선을 오르며 한번쯤 여객기가 지나는 풍경을 넣어 담아보려 했는데. 전망데크에서 기회가 생겼네요.
![](https://t1.daumcdn.net/cfile/blog/271BE14F56D2DA240C)
정상으로 가려면 앞쪽의 뾰죽한 봉우리를 넘어가야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0B504F56D2DA271E)
잠시 쉬어 다시 봉우리를 넘어 오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456145056D2DA5D08)
뾰죽한 봉우리를 넘어 안부에 내려서니 우회로 가 나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49605056D2DA6016)
위험하니 왼쪽으로 돌아 가라는 우회로 안내..... 그러나 산을 올라 본 사람 이라면 특별히 기상조건이 나쁘지 않다면 가운데 암릉코스로 대부분 오릅니다. 안전은 각자가 책임지시고....
![](https://t1.daumcdn.net/cfile/blog/2431C75056D2DA6330)
저도 가운데 암릉코스로 선택해 오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536A65056D2DA672A)
과천방면에서 중계탑 까지 연결되는 케이불카 - 일반 산객들은 탈수 없고 기상 관측소와 방송 중계탑 운영에 필요한 물자만 실어 나른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361E5056D2DA6A2C)
케이불카 능선쪽을 담아 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54F165056D2DA7210)
정상으로 향하는 난코스가 시작 됩니다. - 관악문을 오르는 암릉길
![](https://t1.daumcdn.net/cfile/blog/2656B95056D2DA7508)
저는 암릉뒤로 보이는 다른 풍경이 있나 해서 뒤로돌아 오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34D23A56D3006D07)
암봉위로 올라 올라온 능선길을 그려 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3EE94A56D2DAED0E)
이제 정상이 건너편에 보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26924A56D2DAEF28)
기상관측 레이더와 연주암을 당겨 담아보고...
![](https://t1.daumcdn.net/cfile/blog/2528DF4A56D2DAF225)
아랫쪽에서 내가 서 있는 바위 밑으로 산객들이 빠져 나옵니다...... 그러면 이 바위 밑이 관악문이 되겠네요.
![](https://t1.daumcdn.net/cfile/blog/2622BC4A56D2DAF72C)
바위 밑을 내려다 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4F264A56D2DAFA01)
바위밑으로 내려가 관악문을 통해 정상을 바라 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2EB23456D301CF03)
이곳이 '관악문'과 '지도바위'가 있는 암봉 입니다. - 관악문을 통과한 산객들 머리위로 지도바위가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29A74F56D2DD9E16)
기상관측소 와 연주대 위를 지나는 여객기를 넣어 담습니다. - 이것은 지도바위에서 얻은 덤
![](https://t1.daumcdn.net/cfile/blog/260EC74F56D2DDA22F)
지도바위에서 정상암릉으로 가기 위해 안부로 내려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36264F56D2DDA60B)
암릉을 오르며 뒤돌아 본 지도바위와 관악문이 있는 봉우리
![](https://t1.daumcdn.net/cfile/blog/261F924F56D2DDA91F)
정상으로 오르는 암릉길 - 암릉코스중 2-1번코스를 선택해 오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27BE4F56D2DDAC18)
암릉을 오르며 바라본 연주대 절벽
![](https://t1.daumcdn.net/cfile/blog/212D674F56D2DDB013)
암릉길을 오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61A3C4F56D2DDB524)
거의 수직에 가깝게 선 암릉길 - 눈 또는 비가 올 때는 피해야 하는 위험구간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27024D56D2DE4B0B)
이제 암릉의 끝이 보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09964D56D2DE4E27)
12:07 관악산 정상의 삼각점에 섭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579304D56D2DE5235)
관악산 정상의 풍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227B7A4D56D2DE5633)
![](https://t1.daumcdn.net/cfile/blog/2677414D56D2DE5936)
정상석에서....
이곳 까지 왔으니 절벽위의 작은암자인 연주대를 들러보려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12204D56D2DE5C1F)
연주대 안내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2324A34D56D2DE5F0E)
연주대로 이동하며 바라본 기상관측소와 관악산의 가장 높은곳 횃불바위(632m)
![](https://t1.daumcdn.net/cfile/blog/2627CD4956D2DEB224)
연주대 가는 길
![](https://t1.daumcdn.net/cfile/blog/2505304956D2DEB543)
![](https://t1.daumcdn.net/cfile/blog/21294D4956D2DEBC22)
연주대로 들어 섭니다. - 세평 정도의 아주 작은암자
![](https://t1.daumcdn.net/cfile/blog/243D854956D2DEBF0A)
![](https://t1.daumcdn.net/cfile/blog/2621D44956D2DEC22A)
![](https://t1.daumcdn.net/cfile/blog/251B744956D2DEC82E)
입구쪽 ... 암벽에 동전을 붙이며 소원을 비는 곳
![](https://t1.daumcdn.net/cfile/blog/2374594E56D2DF1121)
연주암을 올라오며 정상으로 올라왔던 암벽길 (2-2번)을 바라 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5099E4E56D2DF1411)
2-2번코스로 올라와 2번으로 올라오는 산님들을 조금 당겨본 모습
![](https://t1.daumcdn.net/cfile/blog/2563B04E56D2DF1830)
연주대에서 올라 왔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778DC4E56D2DF1B21)
관악산 최고의 풍경 연주대를 조망하러 전망대로 내려가며 정상의 풍경을 담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273DE4E56D2DF1E23)
횃불바위
![](https://t1.daumcdn.net/cfile/blog/2415B14E56D2DF2103)
전망대로 내려와서 연주대를 배경으로....
![](https://t1.daumcdn.net/cfile/blog/250CC94E56D2DF240E)
연주대
![](https://t1.daumcdn.net/cfile/blog/26307F4F56D2DF631B)
![](https://t1.daumcdn.net/cfile/blog/2617D74F56D2DF6732)
![](https://t1.daumcdn.net/cfile/blog/221F374F56D2DF6B2B)
관악산 정상과 연주대
전망대에서 연주암으로 가는길.... 말바위 능선으로 방향을 잡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438674F56D2DF6E16)
말바위능선에서 바라본 기상관측소와 연주대
![](https://t1.daumcdn.net/cfile/blog/263B604F56D2DF7113)
연주암과 말바위 능선 안부
![](https://t1.daumcdn.net/cfile/blog/271D894F56D2DF7324)
이곳에서 간단히 점심 요기를 하고......
![](https://t1.daumcdn.net/cfile/blog/231CBA4F56D2DF772E)
말바위 능선 안부로 내려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107DF4D56D2E00F34)
눈길 사이로 나 있는 계곡길은 서울대 방향으로 난 계곡길 이랍니다.(제가 내려갈 길)
![](https://t1.daumcdn.net/cfile/blog/2324F34D56D2E0121A)
![](https://t1.daumcdn.net/cfile/blog/270CFD4D56D2E01530)
말바위 능선
![](https://t1.daumcdn.net/cfile/blog/27320E4D56D2E01807)
관악산 정상부 전체가 조망되는 근사한 풍경 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322444D56D2E01B1D)
능선 아래로 보이는 연주암과 삼층석탑 - 오늘은 연주암으로 내려가지 않을것 입니다. 다음에 올때 육봉이나 팔봉을 거쳐 과천쪽으로 하산을 해야 겠지요. ㅎ~
![](https://t1.daumcdn.net/cfile/blog/2212774D56D2E01D2B)
당겨본 석탑이 있는 능선
![](https://t1.daumcdn.net/cfile/blog/2702FA4B56D2E05804)
12:56 정상부를 조망하며 하산을 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658484B56D2E05B2E)
서울대 공학관 방향으로 하산로를 잡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405F14B56D2E05E01)
![](https://t1.daumcdn.net/cfile/blog/2769A24B56D2E0621F)
13:30 서울대 공학관 쪽의 등로는 폐쇄되어 있고 철조망이 튿어진 곳으로 산객들이 다니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제4쉼터 쪽으로 길을 잡아야 하겠군요.서울대 공학관 쪽에서 출발하는 마을버스 2번을 타고 낙성대 역으로 나와 전철로 갈아 탑니다. (감사 합니다.)
사당에서 4호선 전철을 갈아타고 창동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니 함박눈이 펑펑 쏟아집니다.일기예보를 참고하고 산행코스를 줄이기를 잘한것 같습니다. 회룡역에 내려 쏟아진 눈풍경을 담아보려 중량천을 들러 집으로 갑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670724B56D2E06419)
눈내리는 중량천 풍경
![](https://t1.daumcdn.net/cfile/blog/2754F94B56D2E06732)
가는겨울의 아쉬움을 이렇게 달래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