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셋째날 (2월17일 토요일)
배짱이 팀원들이 모여 근교산행을 가집니다.
원도봉산 망월사에서....
언 제 : 2018년 2월17일 토요일 날 씨 : 맑음 기 온 : 서울 13:00 -0.4℃
누 구 랑 : 안광현 님 고산회장 님 주기장님 그리고 나 넷이
어 디 를 :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원도봉산'
산행 코스 : 망월사역 ~ 망월사 ~ 산불감시초소 ~ 3보루 ~회룡탐방지원쎈타 ~회룡역(10:30 ~16:10 5시간 40분 휴게시간 포함)
산행코스
설 명절 다음날 망월사역에서 만나 10시 30분 산행을 시작 합니다.
원도봉산 이라 함은 지금은 도봉산으로 통합명칭으로 불리고 있지만
도봉산 다락능선 과 포대 뒤쪽(포대능선 방향)망월사 원효사 산불감시초소봉 등이 위치해 있는 동북쪽의 도봉산을 말하는 옛 이름 이랍니다.
망월사 계곡길과 원효사 길이 갈라지는 지점..... 우리는 망월사 계곡길을 택해 오릅니다.
계곡은 두텁게 얼음으로 덮여 있고
응달진 계곡길이라 등로는 얼음으로 반들반들 합니다.
이곳은 도봉산 주 등반로와는 달리 사람이 그다지 많이 다니지 않는 곳이지만 설날 연휴여서 그런지 등산객들이 제법 보입니다.
엄홍길 대장의 생가터를 지나고...
약수터도 지나 오릅니다.
망월사 갈림길 아래 덕재샘쪽 계곡의 얼음폭포
포대능선 쪽과 자운봉 방향의 길이 갈라지는 망월사 아래의 이정표
우리는 망월사로 곧바로 들어서 영산전으로 오릅니다.
영산전으로 오르는 절벽 아래의 문수굴
문수굴 옆의 통천문(通天門)을 지나 갑니다.
이곳에 올 때 마다 기발한 필체의 명품 현판에 마음을 빼앗겨 한참을 감상해 봅니다.- 통천문 현판
통천문을 지나 두개의 긴 계단을 올라 영산전에 오릅니다.
영산전에서 바라보는 망월사
영산전에서 망월사 계곡 아래로 건너다 보이는 수락산의 명품조망 - 일출명소로 꼽히는 장소 입니다.
우리는 영산전 뒤편 가까이(50여m)에 있는 고려말 혜거국사 부도가 있는 곳으로 내려 갑니다.
혜거국사 부도 - 참으로 아늑한 명당
혜거국사 부도를 보고 본당으로 돌아갑니다.
영산전을 내려오며 바라 본 산신각과 선방 - 파란 하늘과 포대능선의 기암아래 위치한 사찰 건물은 아늑합니다.
추녀 밑에 달린 노봉방의 흔적 - 지금은 겨울이라 벌들이 모두 없어졌을 테지요. 여러해를 사는 꿀벌과 달리 말벌들은 겨울이 되면 여왕벌 애벌래와 호위병 몇마리를 남기고 모두 죽게되는 1년생.....
망월사 하면 불이문으로 이어진 낮은 담장과 돌계단 그리고 2층 목조전각이 멋지지요. 종각 앞에 올라서 담습니다.
포토죤에서 당겨 담아 본 영산전
영산전의 풍광은 언제 보아도 멋지답니다.
오늘 함께한 배짱이 팀
우리는 망월사를 지나 산불감시초소봉 직전의 해골바위를 구경하고 그곳에서 점심을 먹기로 합니다.
13:06 바람이 막힌 편평한 곳에 둘러 앉아 간단히들 준비해 온 점심을 먹습니다.
13:50 점심을 마치고 산불감시초소봉으로 오르기위해 포대능선 망월사갈림길 로 올라 섭니다.
산불감시초소봉에서 바라보는 포대능선과 도봉산 정상 방면의 풍경
건너편으로 보이는 수락산과 불암산(우)
어두바위
14:13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봉우리에서 하산을 시작 합니다.
보통은 사패산 방면으로 하산을 하다가 회룡골로 내려 갑니다만 오늘은 안말로 내려가다 3보루길을 택해(회룡골은 망월사 계곡과 같이 등로가 얼어있을 것으로 판단됨)능선길로 내려 갑니다.
나야 현지에 사니 구석구석 길을 많이 다녀 봤지만 오늘 참가한 배짱이세분은 처음 걸어 보는 길일 겁니다.
암릉구간만 요렇게 길찾아 잘 내려가면 능선길은 흙길이라 미끄러운 계곡길 보다는 훨신 편하게 내려 갈 수 있을 것입니다.
두꺼비 바위
암릉구간을 지난 능선길은 예상했던 대로 눈 없이 걷기에 원만하여 사고없이 3보루 둘래길로 내려 섭니다.
15:46 회룡탐방지원쎈터를 지나고 25분 쯤을 더 걸어 회룡역에 도착하며 설날연휴에 가진 원도봉산 산행을 마칩니다. 감사 합니다.
하산후 회룡역에서 가진 뒷풀이
'산행앨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산 봄꽃을 찾아(변산바람꽃 2018.3.6) (0) | 2018.03.06 |
---|---|
북한산(3월의 폭설 2018.3.1) (0) | 2018.03.01 |
수락산 도정봉(2018.2.4) (0) | 2018.02.04 |
북한산 백운대(2018.1.30) (0) | 2018.01.30 |
인왕산 (송년산행 2017.12.31) (0) | 2017.12.31 |